본문 바로가기

국내외 주식 해외선물

노벨재단 40억 유산으로 120년간 상금을 지급 할 수 있었던 이유

728x90
반응형

 

 

 오늘은 '노벨재단이 40억 유산으로 120년간 상금을 지급 할 수 있었던 이유'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 그 이유는 바로 유산으로 받았던 40억을 투자로 자산증식을 했기 때문입니다. 홈페이지에 가면 노벨재단의 많은 정보를 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. 바쁘신 방문자님들을 위해 제가 공식홈페이지에 첨부되어있는 회계리포트 중 포인트만 요약했습니다. 노벨상을 받는 분야는 물리학상, 화학상, 의학상, 문학상, 평화상 그리고 경제과학상입니다. 받은 유산을 계속 은행에만 두었다면 매년 수많은 상금을 감당할 수 없었겠죠? 한화로 보면 약 10억~13억 정도 된다고 합니다. 약 40억의 유산으로 어떻게 매년 수상과 상금을 줄 수 있을까요? 노벨재단은 Foundation's asset management team이 존재합니다. 재단 이사회에서는 자산운용에 큰 틀을 짭니다. 아무래도 '노벨상' 자체가 선망 있는, 고귀한 느낌이라서 그런지, 포트폴리오 속에 철학, 책임감, 선망감, 원리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. 쉽게 말하면, 고귀하지 못하게 번 돈으로 노벨상 상금을 줄 수 없다! 이런 뉘앙스입니다. खิ৺खิ✧

 

( 그렇게 돈 벌려면 매우 바빠야 할 텐데요 ㅋㅋㅋ)

 

 

 재단이 투자하는 분야는 Equities(주식 및 주식형 펀드), Fixed income assets(고정수입 자산) Alternative assets(대체 자산), Property fund(부동산 펀드)입니다. 비율은(2020년 발행한 2019년 연간 보고서 참조) 주식 및 주식형 펀드 55% (비율 조정 오픈 가능성-15% to +10%), 고정수입 자산 10% ( -10% to +45%), 부동산 및 부동산 펀드 10% (±10%), 대체자산 25% (± 20%)입니다.

 

※ Fixed income assets(고정수입 자산)
=배당금이나 이자

※Alternative assets(대체 자산)
=주식, 채권과 같이 분류된 자산이 아닌  말 그대로 대체자산
예를 들어 보석, 와인, 그림 등에 투자하는 것

 

 그럼 순위로 따지면 1. 주식 및 주식형 펀드, 2. 대체차산, 3. 고정수입 자산, 4. 부동산 및 부동산 펀드, 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. 그래도 연간 재단 이사회에서 인플레이션율과 리스크를 생각해 조정한다고 합니다만, 큰 틀은 노벨이 무덤에서 다시 일어날 때까지 바뀌지 않을 것 같습니다. 그 이유는 노벨재단도 돈을 많이 벌어야 교육사업에 투자를 하고 상금도 자산 수익의 일정 비율로 지급해야 하고 재단 자체를 운용하는 비용도 지불해야 하고 이것저것 다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. (돈 쓰는데 이유를 붙이면, 어디 한 두가지 이던가요?)

 

 

 제가 사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 뉴스에서 비슷한 타이틀을 가진 글을 봤는데 더 파볼 가치가 있다고 여겼습니다. 하나부터 열 가지 전부는 세세하게는 다 알 필요 없고 투자에 관심이 많으니 자산운용관리 섹션만 읽어보았습니다. 제 생각보다 훨씬 디테일하게 포트폴리오가 설계되있었고(분산투자 비율), 주식 및 주식형 펀드 그리고 대체자산에... 투자하는 비율이 높아 놀랐습니다. Σ(°ロ°) 섹터 몰빵은 역시 아닙니다... 몰빵으로 돈 버신 분들은 낚시 처음 간 사람이 바다에서 참치 잡는 것과 맞먹는 운이라고 생각합니다. (그러셨다면 축하축하드립니다 ^_^) 위에서 간략하게 썼지만 대체자산은 우표, 와인, 그림 등 수집이 가능한 자산입니다. 더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, 소장가치 있는 레고..? 발견되지 않은 고대 유물...? 정도로 표현할 수 있습니다. 개인적으로 저 포트폴리오 구성은 따라 해 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. (대체자산 빼고... 이건 보는 눈을 먼저 길러야 하기에ㅎㅎ) (。・ω・。)つ━☆・*

 

 

다양한 금융상품이 궁금하다면 구경해보세요~

jjys0621.tistory.com/

 

Then, do it

 

jjys0621.tistory.com

 

 

728x90
반응형